소급성이라는 용어는 도량형에 대한 국제 기본용어집(International
Vocabulary of Basic and General Terms in Metrology)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모든 불확도가 명확히 기술되고 끊어지지 않는 비교의 연결고리를 통하여, 명확한
기준(국가 또는 국제표준)에 연관시킬 수 있는 표준값이나 측정결과의 특성을 말한다.”
따라서 VILAS인정을
획득하기 위해 소급성을 입증하고자 하는 경우 교정기관은 국가표준으로 끊어지지 않는 비교 고리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리가 고유한 불확도, 측정프로세스의 보증, 적절한 교정절차 및 취급에 의해서 지원되어야
합니다.
측정은 재화 및 서비스생산에 있어서의 기초를 이루며, 국가측정표준은
산업 및 사회구조의 기반이 된다.
계량표준은 제조과정, 제품시험, 건강 및 안전, 환경감시, 식품처리, 새로운 기술의 채택,
과학적 진보 및 국내경제에서의 공정거래의 기반이 된다.
측정은 우리 주변의 도처에 존재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종 간과되고 있다. 또한 시험은 측정에 기초하기 때문에 측정 및
측정 소급성에 대한 상호승인은 시험결과에 대한 상호인정에 있어 가장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제는 국제시장에서도
품질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ISO9000과 같은 품질시스템의 도입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분명한 것은
품질시스템 자체가 양질의 품질을 생산해 내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품질시스템은 공정을 감독하고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매카니즘이지 품질의 보증품은 아니다. 사실 품질 시스템이라는 것도
제조과정 또는 시험에 관련된 측정 혹은 측정과정이 부정확하다면 불량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내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원자재 검사, 공정관리 또는 완제품 시험에서든지 양질의 측정 또는 측정결과의 보증요건은 두가지 측면,
즉 능력(Competence)과 측정의 소급성이 관련된다. 이때의 능력은 측정요원과 측정방법 및 품질 시스템과 관련되며, ISO/IEC 17025에 따른 제3자 인정을 통해 가장 잘 나타난다.
측정의 소급성은 측정장비의 정확도와도 관계된다. 측정장비의 지시 값 또는 기기에 의해 주어지는 측정이 이루어지는 물리적 단위에서 정화해야만 하며, 궁극적으로 그 단위의 기본적 실현을 통한 측정표준과의 소급성을 필요로 한다.
세계시장에서 제품 시험 및 적합성에 대한 국제적 승인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이를 위해 국제측정표준과의 소급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SI단위에 대한 국제 측정표준은 국제 도량형국(BIPM)에 의해 유지되는 기본표준과 국제적인 비교 프로그램, 특히 국제도량 형국이 주관하는 프로그램(Key Comparison)을 통하여 다른 기본 표준에 상응한 것으로 증명된 국가계량연구소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표준들로 구성된다. 국제적으로 국가계량연구소들의 주된 임무는 기본표준을 확립하고 국제비교를 통해 이러한 표준의 정확도를 증명하는 것이다.
SI단위의 실현으로서 기본표준은 매우 구체적인 단일 값을 가진 표준이 되기 쉽고 이런 표준에 대한 증명된 소급성만으로는 상당히 광범위한 양이나 값에 대해 그 능력을 충분히 입증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가계량연구소가 더욱 완벽하게 소급성과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좀 더 광범위한 범위의 국제비교에 참가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저항 분야 1Ω 기본표준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한 소급성 증명이 다소 상이한 기술을 요하는 매우 큰 저항값에 대한 측정능력을 증명해주지는 못한다. 이 문제는 국제 도량형국 및 자문위원회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결론적으로 측정은 국가경제발전의 필수 요소인 시험, 적합성 평가 및 국제교역의 토대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국가측정표준에 대한 상호인정 및 국가계량연구소들의 능력은 국제측정표준 소급성 유지의 필수 조건이다.